간단한 카카오 API 이용 - 1. Setting
재밌겠다
- 예전에 Slack에서 내가 채팅을 치면 채팅 메시지에 따라 내가 원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Slack bot을 만들어 본 적이 있다.(매우 간단하게..) 비슷하게 카카오톡에서도 가능할까? 생각했었는데 카카오 developers에서 api를 제공해줘서 할 수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시작했다.
1. 카카오 developers
- 카카오 developers - 회원가입 or 로그인
2. 내 애플리케이션 -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
  - 앱 아이콘, 앱 이름, 사업자명 입력
 
3. 앱키 확인
  - REST API 키 확인
 
4. 플랫폼 등록
- 
    왼쪽의 플랫폼 메뉴 
- Web 등록
    - 사이트 도메인 등록하여 메시지의 링크에 해당하는 도메인주소로 갈 수 있도록 설정
        - ex) https://naver.com 등록을 하지 않으면 메시지링크에 네이버가 있어도 가질못한다.
 
 
- 사이트 도메인 등록하여 메시지의 링크에 해당하는 도메인주소로 갈 수 있도록 설정
        
- 등록 후 redirect url도 등록
    - redirect url은 카카오 로그인 access code 확인 위해 필요함
 
5. 카카오 로그인
- 
    왼쪽의 카카오 로그인 메뉴 
- 
    활성화  
6.동의 항목
- 
    왼쪽의 동의항목 메뉴 
- 
    ‘프로필 정보(닉네임/프로필사진)’ 설정 클릭 후 동의, 동의, 목적 작성  
- 
    접근권한 관리의 ‘카카오톡 메시지 전송’ 설정 클릭 후 동의, 목적 작성  
기본세팅 완료. 다음엔 카카오 로그인 API를 이용해서 ouath token을 받는 작업 할 것이다.
 
      
    
댓글남기기